사우디아라비아 시장 진출 프로젝트
2024.04.03~05.07
개요
엔젤스윙에서 새로 진출하려고 하던 시장인 사우디아라비아(KSA)의 데이터 상주(Data Residency) 규제를 충족하기 위해, 엔젤스윙에서는 기존에 사용하던 AWS 인프라 외에 **Google Cloud Platform(GCP)**을 병행 도입했습니다. AWS는 당시 KSA 리전을 지원하지 않았던 반면, 2023년부터 GCP가 KSA 리전을 개설함에 따라 이를 활용하게 되었습니다. 저는 프론트엔드 개발자로서의 역할뿐만 아니라, 멀티클라우드 아키텍처 전환 및 클라우드 서비스 복제 작업에 기여했습니다.
기술 스택
- 프론트엔드:
TypeScript
, React
- 클라우드:
AWS
, GCP
(Cloud Storage, Cloud Run, Cloud Functions, Load Balancer, CDN 등)
주요 기여 및 구현 내용
- 멀티클라우드 아키텍처 대응
- 기존 AWS 기반 인프라 구성을 GCP 환경으로 복제하며, 주요 서비스들을 GCP에 대응하는 서비스로 재구성하였습니다. 이때 커스텀 업로더도 AWS와 GCP 모두에서 사용 가능하도록 개선했습니다.
- 프론트엔드 코드 내 클라우드 종속 로직을 추상화하여, 리전 또는 클라우드 제공자에 따라 유연하게 동작하도록 구조화했습니다.
- 환경변수 기반 리전 자동 감지
- 다중 리전을 지원하기 위해 리전별로 여러 번 빌드하는 것보다 한 번 빌드하여 런타임에서 환경변수로 특정 리전을 감지하도록 구현했습니다.
- CI/CD 파이프라인 개선
- 기존 GitHub Actions 기반 CI/CD 파이프라인은 AWS 전용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나, 이를 확장하여 GCP 환경으로도 병렬 배포되도록 파이프라인을 개선했습니다.
- 빌드·배포 스크립트에서 리전별 대응 설정을 적용하여, 지역별 컴플라이언스 요구사항에 자동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.
성과 및 결과
- 시장 확장성 확보: KSA 및 중동 지역 고객사를 유치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며, 비즈니스 성장에 직접 기여했습니다.
- 컴플라이언스 대응: GCP KSA 리전을 활용한 덕분에 사우디아라비아의 데이터 상주 규제를 준수할 수 있었습니다.
- 운영 효율성 향상: 빌드 및 배포 구조 최적화로, 다중 리전 운영 시에도 운영 비용과 유지 보수 비용을 절감했습니다.
3D 안전 관리 성능 최적화
2024.02.16~2024.02.29